본문 바로가기

Library&Framework/Django18

[django 기초][의문점] views.py에서 언제 as_view를 사용할까? 의문은 여기서 들었다... FBV(function based view)로 views.py를 url제어할 때는 두번째 인자로, views. 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장고 실무 심화강의에서 부터 CBV(class based view)로 views.py url제어에서는 path 함수의 두번째 인자로, views..as_view()를 인자로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왜???? 저거 도대체 언제 붙혀야 하는건데? 라는 의문이 들었고 path 함수에 대해서 한번 검색해보고 알아본 경험이 있지만 다시한번 자세히 알아보기로 했다. 결론적으로, path 함수의 두번째 인자로는 views.py에서 정의된 "함수"를 받는다. 클래스가 아니라! 자, 그러면 as_view는 함수일까?? 궁금해서 커맨드+클릭 해보.. 2023. 4. 25.
[Django심화][2주차필기] 9강, 클래스형뷰, CBV(class based view) 2023. 4. 23.
[Django기초] 직렬화(Serialization), 역직렬화(Deserialization)는 django에서 어디에 적용되었는가?? 권기현 튜터님의 Django drf강의를 들으며 게시글에 대한 CRUD를 작성하고 있는데 과연 어떤부분에서 직렬화(Serialization) 와 역직렬화(Deserialization)가 적용된 건지 궁금했습니다! https://onlyfor-me-blog.tistory.com/494에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할 수 있었고 제가 작성한 코드에서도 직렬화와 역직렬화를 했다는 것을 코드를 보며 이해했습니다. class ArticleDetail(APIView): def get(self, request, article_id, format=None): article = get_object_or_404(Article, id=article_id) serializer = ArticleSerializer(article) r.. 2023. 4. 22.
[Django심화][2주차필기] 8강. swagger설치 적용 2023. 4. 22.
[Django심화][2주차필기] 6강. 포스트맨으로 API 확인 2023. 4. 22.
[Django심화][2주차필기] 5강. 시리얼라이저 모델 활용해보기 2023.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