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9

[Django심화][1주차필기] 5강. 웹의 요청 흐름 살펴보기 2023. 4. 21.
[AI웹개발][34일차TIL][Django 실무 심화] 2주차 1강~5강 듣고 정리하기 이번 Django 실무 심화 강의는 저번과 같이, Notion에 기록하면서 복습하기 쉽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1강은, 2주차 OT 이기 때문에 따로 자료가 없고 2강부터 5강(절반)까지 오늘 공부해보았습니다 ! 데코레이터에 대한 내용은, 따로 전에 다뤘었기 때문에 필기하지않았습니다! https://www.notion.so/2-DRF-9908f159af914867a9e8083c97971862?pvs=4 2주차 강의 자료 : DRF 튜토리얼 목차 www.notion.so 노션 웹 페이지 공유합니다! 2강,예시입니다 다른 분들만큼 많이 듣진 못했지만, 저만의 공부스타일이 있으니 끝까지 이렇게 기록하며 공부하려 합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습니다 ㅎㅎ 2023. 4. 21.
[AI웹개발][32일차TIL] 장고 기초 지식 쌓기 ! 안녕하세요 ! ㅎㅎ 우지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뭘 공부 했는지 작성하고 빠르게 마치겠습니다 4월 18일 화요일에는, Django 실무 심화 강의는 듣지 않고 책 읽으면서, 이미 알고 있던 내용들은 복습하는 느낌으로 읽어 나갔고 새롭게 알게 된 내용들은 밑줄 그으며, 정독해나갔습니다 ! 다음 목차는, 제가 몰랐던 내용들을 위주로 적어봤습니다. 목차 1. 왜 SQLite3 을 사용하나요 ? 2. 데이터베이스와 외래키 (foreign key) 이해하기 3. Django shell 사용하기 4. FBV로 페이지 만들기 5. CBV로 페이지 만들기 6. 쿼리란 무엇인가요 ?이날 이렇게 공부를 했는데.. 사실 이날 공부에 집중을 그렇게 많이 한편은 아닌거 같아 공부가 좀 안되는 날이어서 TIL도 안쓰고, 푹 쉬었.. 2023. 4. 20.
[AI웹개발][33일차TIL][Django 실무 심화] 1주차 정리본 - Notion을 이용했습니다. Django 실무 심화강의 1주차 강의를 저 스스로 복습하기 위해서, 한 마디도 빠지지 않고 열심히 작성한 노션 자료 입니다 ! 보기 편하도록, PDF 파일도 올려두었어요 ㅎㅎ Django 실무 심화 1주차 강의 노션링크 https://www.notion.so/1-HTTP-abfff8499111469089711484fc5ef453?pvs=4 1주차 강의 자료 : HTTP와 웹의 동작 방식 강의 목차 www.notion.so 5강부터 8강까지 PDF 파일 입니다! 태블릿이나, 휴대폰에서 편하게 복습할 수 있어요! 1주차 내용이, 용어들도 많고 어려웠기 때문에 따로 정리해둬서, 하나하나씩 깨달아나가면 금방 다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다들 화이팅입니다! 2023. 4. 19.
[목차 바로가기]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본문으로 이동하는 링크 만드는 방법 목차 1. 티스토리에서 기본모드 변경하기 2. 목차와 본문 내용 작성하기 3. 관련 영상 4. 결과 가끔 글을 쓰면, 목차, 서론, 본문, 결론으로 귀결하는데 목차에 있는 내용을 클릭하면 본문 안으로 바로 이동하면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포스팅할 때, 목차를 클릭하면 본문 내 특정 구간으로 이동하는 "html code 사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티스토리에서 모드 변경 티스토리에서는 글쓰기 모드에서 세가지 모드를 제공하는데요! 지금까지 게시해왔던 대부분의 글들은 기본모드에서 작성해오셨을 것입니다 ! 여기서 기본모드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세가지 모드가 나오게 됩니다 ! 앞으로 작업할 HTML 모드를 사용하면 손쉽게 하이퍼링크를 타고 , 목차를 클릭해서 게시글 내.. 2023. 4. 19.
[Coding Test03] 직사각형 넓이 구하기 목차 1. 문제 소개 2. 사전지식 01 3. 사전지식 02 4. 사전지식 03 5. 내풀이, 다른풀이 1. 문제 소개 문제 사이트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860 2. 사전지식01 파이썬에서 리스트의 요소들을 서로 교환(스왑)하고 싶을 때에는 list[i], list[j] = list[j], list[i]를 사용할 수 있다. 3개도 가능하고, 4개도 가능하다 ! 참고 했던 자료 : (https://growingarchive.tistory.com/146) 3. 사전지식02 2차원(x좌표와, y좌표) 리스트에서, x 좌표에 대한 관점과 y좌표에 대한 관점을 따로따로 나누어서 보자. (->가로길이, 세로길이 따로 구해야하.. 2023. 4. 19.